ADL / ADR를 매매타이밍에 활용하자.
등락주선은 시장의 돈이 어느 정도 주식시장에 유입되고, 유출되는지 판단하는 지표 지표이고, 등락비율은 시장인기의 증가와 감소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1. ADL (advanced-decline-line)
1) ADL(등락주선) 이란?
등락주선은 시장의 돈이 어느 정도 주식시장에 유입되고 있는지, 유출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서, 시장 내부세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한다.
상승종목수에서 하락종목수를 차감하여 누적하는 방식이라, 상승 종목수가 많으면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는 것이고, 하락 종목수가 많으면 반대로 자금이 유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할지, 하락할지 판단 할 수 있는 선행지표이다.
2) 작성방법은?
주가상승 종목수와 하락종목 수의 차이를 매일 누적하여 계산한 것이며, 이것을 선으로 이은 것이 등락주선이다.
3) 매매기법은?
종합주가지수 | 등락주선 | 주가에측 |
하락 | 상승 | 앞으로 주가가 상승 예상 |
상승 | 상승 | 추세 상승으로 추가 상승 가능 |
상승 | 하락 | 하락 전환이 예상 |
하락 | 하락 | 추세 하락으로 추가 하락 우려 |
전고점 부근 도달 | 전고점 당시 수준아래 | 단기적으로 주가 약세 예상 |
전고점 부근 도달 | 전고점 당시 수준위 | 단기적으로 주가 강세 예상 |
전저점 부근 도달 | 전저점 당시 수준아래 | 단기적으로 약세가 지속 |
전저점 부근 도달 | 전저점 당시 수준위 | 단기적으로 상승전환(강세)이 예상 |
2. ADR (Advanced-Decline-Ratio)
1) ADR(등락비율) 이란?
등락비율은 상승종목 수와 하락종목 수를 이용하여 작성한 지표로서, 하락종목 수에 대한 상승종목 수의 비율을 나타낸다.
등락비율의 상승은 시장 인기 증가를, 하락은 시장인기 감소를 의미한다.
2) 작성방법?
일정 기간 동안의 상승종목수를 하락종목수로 나눈다. 일반적으로 20일 이동평균값을 사용한다.
등락비율 = (분석대상기간 동안의 상승종목수(20일) / 분석대상기간 동안의 하락종목수(20일) ) *100(%)
3) 매매기법은?
- ADR > 125% : 경계지대로서 매도시기 (상승종목수가 더 많다)
- ADR < 75% : 안전지대로서 매입시기 (하락종목수가 더 많다)
* 등락비율 100%는 상승종목과 하락종목이 같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증권사는 ADL과 ADR을 쉽게 안 보여 줍니다. 5개 증권사 프로그램을 확인했는데 없습니다. 키움증권에서 제공하는 것도 약간 개념이 다른 거 같고 분단위로는 설정이 안 됩니다.실시간으로 상승종목 수와 하락종목수를 그래프로 보기를 희망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25.gif)
'주식-신고가·상한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합격했습니다. (83) | 2022.01.05 |
---|---|
52주 신고가 종목 요약 (22년 1월 4일) (14) | 2022.01.05 |
52주 신고가 종목 요약 (22년 1월 3일) (10) | 2022.01.04 |
스마트폰 코인 채굴 어플 -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MRST Mining App' 소개 (13) | 2021.12.30 |
주식 매수 타이밍은? (0) | 2021.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