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수익형 블로그 초기 설정 방법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앞에서 설명한 티스토리 수익형 블로그 만들기를 마무리했다면, 블로그 최적화를 위해서 초기 설정을 해야 한다.
티스토리 블로그에 익숙하지 않다면 설정을 어디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막연할 것이다.
가장 쉽게 설명할 테니 따라오기만 하세요~~^^
1. 블로그 오른쪽 상단 관리버튼 클릭하여 설정 화면으로 이동
2. 티스토리 블로그 콘텐츠 설정
글쓰기 글 상태 : 공개
단락 앞뒤 공백 : 사용하지 않음
저작물 사용허가 : 표시 (작성한 글에 대한 권리보호를 하기 위함)
- 상업적 이용 : 비허용
- 콘텐츠 변경 : 비허용
![]() |
![]() |
3. 티스토리 블로그 댓글. 방명록 설정
댓글 작성 : 로그인한 사용자만
댓글 : 승인 후
방명록 작성 : 비허용
방명록 한화면 : 10개
수익형 블로그를 만들려면 댓글과 방명록은 만들지 않는 게 좋다.
![]() |
![]() |
4.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
구글로부터 애드 센서 승인이 난 후 수익 메뉴에서 구글 애드 센서를 연동하면 된다.
승인 전에는 수익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연동해도 의미가 없으니 서두를 필요 없다.
구글 애드 센서 승인 조건은 1500자 이상 작성한 글을 20개 이상 발행해야 한다고 한다.
승인 여부는 구글 직원이 아닌 로봇이 판단한다고 합니다.
5. 티스토리 블로그 꾸미기 - 스킨변경
스킨 목록에서 원하는 스킨을 선정하면 사용 중인 스킨에 등록된다. (북클럽 스킨을 사용 중)
![]() |
![]() |
6. 티스토리 블로그 꾸미기 - 스킨편집
홈 화면 글 수 : 8개
리스트 타입 : 뉴북 또는 북리뷰
![]() |
![]() |
![]() |
7. 티스토리 블로그 꾸미기 - 사이드바
수익형 블로그는 소통하는 글이 아닌 신문이나 잡지처럼 글을 발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이드바를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이 좋다.
"공지사항, 최근글/인기글, 최근댓글, 페이스북/트위터, 태그, 전체 방문자, 소셜채널"은 사이드바에서 (-)를 눌러 기본 모듈로 이동시키면 된다.
수익형 블로그를 처음 만들면 일정기간 동안 블로그 접속자 수가 많지 않다. 그래서 최근글/인기글, 전체 방문자 수, 등은 방문객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어렵다. 그래서 정보를 제한하는 것이 수익형 블로그에는 유리하다.
![]() |
![]() |
8. 티스토리 블로그 플러그인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다양한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플러그인이 너무 많아지면 속도가 늦어진다.
필요한 플러그인을 클릭하면 사용 가능해진다.
![]() |
![]() |
9.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닉네임 수식어는 닉네임 앞에 사용되는 수식어다. (블로그에 쓴 글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블로그 설명은 키워드 중심으로 입력한다. 블로그 설명은 로봇이 블로그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되는 중요한 정보이다.
수익형 블로그는 입력하는 것이 유리하다.
![]() |
![]() |
주소 설정은 작성한 글을 발행하면 지정되는 주소(URL)이다.
포스트 주소 숫자이나 문자가 구글에서 검색할 때 좀 더 유리하다.
숫자와 문자 선택은 신중해야 하고 변경하게 될 경우 글의 상위 노출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RSS는 50개로 갱신한다.
![]() |
![]() |
이상으로 티스토어 블로그 설정을 완료하였다. 초기 설정은 매우 중요하며 블로그 운영 중간에 변경하게 되면 블로그 상위 노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지금까지 설명한 대로 설정하고 블로그 관리 열심히 하십시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25.gif)
'블로그로 돈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등록시 주소 및 이름을 한글로 입력하셨나요? (23) | 2022.01.11 |
---|---|
티스토리 사이드바 스킨에 달력(CALENDAR) 만들기 (41) | 2022.01.09 |
티스토리 홈화면의 '전체방문자' 숨기기 (2) | 2021.12.21 |
티스토리(TISTORY) 수익형 블로그 만들기 (1) (0) | 2021.12.16 |
구글 트랜드 데이터 활용법 (기초 다지기) (0) | 2021.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