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신고가·상한가 분석

주식 매수 타이밍은?

by 우연&필연 2021. 12. 26.
반응형

주식 매수 타이밍은? 

 

매수와 매도의 싸움에서 승자의 결과로 주가는 상승하거나 하락한다. 개인투자자는 이것을 차트의 봉을 보고 알 수 있다. 기술적 분석을 위해 제일 많이 보는 것이 일봉 차트의 봉과 거래량 그리고 주가 이동평균선이다.

 

주식을 매수하는 타이밍은 크게 3가지 정도로 구분할 수 있다.

  • 강한 상승장에서 매매
  • 상승추세에 매매
  • 하락 추세(장)에 매매

그럼 이 3가지 매매포인트를 알아보자

 

 

1) 강하게 상승(급등)할 주식은 거래량이 실린 장대양봉 발생 후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을 지켜준다.

  • 주가 위치가 높지 않고(52주 저가 대비 30% 이하), 대량 거래량이 발생한 장대양봉을 만들며 강한 상승을 한다.
  • 장대양봉 후 며칠 기간조정을 보일 때 핵심은 거래량이 크게 줄어야 한다. (세력의 이탈 여부 가늠할 수 있다.) 
  • 스켈퍼(2~3% 수익), 데이트레이터(5~8%)의 수익률을 고려하여 거래량을 체크하면 매매에 도움이 된다.  

 

  • 매수 타이밍은 장 시작 후 10시 이전에 저점을 형성하고 거래량 증가하며 다시 상승할 때 또는 당일 시가를 돌파할 때이다.
  • 오전에 반등하지 못했다면 오후 2시 이후 장중 조정을 마치고 전고점을 돌파할 때가 타이밍이다.
  • 장 시작해서 주가가 전일 종가 아래로 일시적으로 하락했다 싱 승하여 시가나 전고점을 돌파할 때 매수 타이밍을 잡을 수 있다. (속임수, 강한주식의 특징)
  • 오전 내내 매수신호가 없던 종목이 만약 매수세력이 존재한다면 세력은 매도 물량 소화 과정을 확인하다 장 막판 14시 이후부터 매수하여 주가를 끌어올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후 2시 이후 매수세 진입으로 상승하면, 시가 돌파가 매수 타이밍이다.  
  • 시가를 돌파하지 못하고 종일 하락하거나 10시 이전까지 강세였는데 10시 이후 하락 전환한다면 매도세가 승리한 것이므로 매매종목에서 제외한다.

 

2) 강한 상승 후 추세 상승을 지속할 주식은 조정 시 5일선과 20일 이동평균선 사이에서 반등한다. (눌림목 매수)

눌림목의 조건은 하락하는 동안 거래량이 이전 거래량의 40% 이하로 현저히 감소해야 하고, 가격 하락폭이 전 추세 상승폭의 50% 이내여야 하고, 장대음봉으로 급락하지 않아야 한다.

장대양봉후눌림정도
장대양봉후 눌림정도

 

  • 주가가 고점에서 매물이 출회되어 하락하기 직전 상승할 때 매수세에 의해 급등한 주식이 좋다. 이때는 하락 조정폭도 작고 기간도 짧다. (급등한 주식이 조정후 재상승이 강하다 - 연속 급등은 강한 재료가 있다는 것이다.)
  • 강한종 목일 수록 10일선 근처에서 재상승하고 20일선까지 충분히 하락하지 않는다.
  • 단기 큰 수익을 주는 강한 종목은 5일선을 깨고 하락 조정 후 곧바로 상승하는 주식이다.
  • 눌림후 얼마나 상승할지는 눌림 하락 전 얼마나 상승했는지로 알 수 있다. (이미 정해져 있다)
  • 하락(조정)하는 동안 거래량이 현저히 감소해야 한다. (하락 시 거래량 증가는 세력 이탈을 의미함)
  • 20일선 부근까지 조정 하락 후 재상승 당일엔 오전부터 거래가 급증해야 하고, 직전 하락폭의 50%를 넘는 양봉의 상승이 나타나면 조정이 마무리되고 상승 시작이다.(만약 거래량 없이 상승한다면 장중 재하락으로 매수 포인트 아니다.)

 

시장이 일시적으로 급락(국지 전쟁, 테러, 자연재해, 정치적 이슈, 대형 펀드의 리밸런싱에 의한 심리적 불안, 시장 왜곡)할 때는 거래량이 급감하는 시장 대표주나 테마 주도주를 매수해야 한다. 상승 시 매집했던 세력이 매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장 빠르고 강하게 반등한다. 

 

3) 주가가 20일선 아래에서 하락(급락) 하고 있을 때 바닥을 확인하고 매수한다.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크게 하락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시황이나 업황이 나빠져서든, 개별 악재 때문이든 이유가 있기 때문에 많이 떨어졌다는 이유로 매수하지 말아야 한다.

 

  • 매수시점은 저점을 확인되었을 때 유효하다.
  • 일차적으로 바닥에서 장대양봉과 거래량 급증이 나와야 한다. 장기 하락한 종목일수록 구간구간 상당한 매물이 쌓여있어 이 매물을 소화해야 추세 상승이 가능하다. 만약 단기 반등 후 매물에 부딪혀 다시 하락할 때는 거래량이 감소해야 하고 직전 저점을 하향하지 않아야 한다. 즉, 2중 바닥에서 재상승하거나 재상승후 전고점을 강하게 돌파할 때  매수 타이밍이다. 

 

 

 

마지막으로 일반 개인투자자는 시장에 맞춰 매매를 해야 한다. 시장이 상승장이면 1), 2) 번 투자를 하고, 하락장이면 3) 번 투자를 해야 한다. 시장이 횡보한다면 빈번한 매매보다는 시장을 관망하고 쉬는 것도 좋은 투자방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