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매매기법

네이버 증권으로 심리적 저점 구간에서 매수하는 방법

by 우연&필연 2021. 12. 30.
반응형

네이버 증권으로 심리적 저점 구간에서 매수하는 방법

 

투자의 기본은 쌀 때 사서 비쌀 때 파는 것이다. 싸게사기위해 투자자들은 기본적 분석을 통해 PER(10 이하), PBR(1이하) 지표로 저평가 주식을 검색하기도 하고, 기술적 분석으로 차트를 이용하여 주가가 쌀 때를 예측하기도 한다.

오늘은 봉챠트를 이용하여 심리적 저점 구간에 들어온 종목을 매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주가가 심리적 저점이란 많은 투자자들이 심리적으로 저점이라고 생각하는 가격대를 말한다.

과거 챠트로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과거부터 누적된 투자자들의 심리를 이해할 수는 있다.

 

주가추세 주가위치 기업가치 투자자 심리
하락 저점지지선부근 변화없음 바닥이라고 생각하는 투자자 증가로 바닥 확인후 주가 반등하여 상승추세 전환
하락 저점지지선부근 하락 지지선이 무너지고 주가는 하락 
상승 전고점부근 변화없음 많이 올랐다는 투자자 증가로 저항을 받고 하락추세로 전환
상승 전고점부근 증가 주가는 전고점을 뚫고 지속 상승할 힘을 가진다. 
상승 신고가 후 하락 증가 주가가 하락추세로 전환되면 지지선 부근까지 하락하길 기다리는 투자자 증가.

 

주가의 움직임을 투자자들의 심리로 생각하면, 지지선이 왜 주가를 지지할 수 있는 힘을 갖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네이버 증권 차트에서 봉챠트만으로 심리적 저점을 이해해 보자.

툴젠심리적저점구간
툴젠 심리적 저점구간 검토

 

챠트기간은 최소 3년 이상으로 설정(주봉)하고, 저점을 연결하여 지지선을 그리고, 고점을 연결하여 저항선을 그린다. 만약 3년이내에 최고 가격이 있을 경우는 저항선은 고점 간 연결이 아닌 최고점에서 수평선을 그리면 된다.

심리적 저점구간을 검토하는 종목은 장기 추세가 우상향 종목이여야한다. 그래야 지지선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심리적 저점구간은 지지선과 저항선의 중간선을 그리는데 지지선에서 25% 위치에 그린다. 이 값은 각자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20%, 30%, 50%, 등)

 

매수 판단은 현재 주가가 심리적 저점 구간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이 구간에 올 때까지 기다리고, 심리적 저점 구간에 들어와 있다면 바닥을 찍고 상승 전환될 때 매수를 한다.

 

위 툴젠의 경우 현재 가격이 심리적 저점구간에 들어와 있기 때문에 관심종목으로 등록해서 관찰한다.  

그리고 3일전 급락으로 심리적 저점 구간까지 떨어지게 된 이유는 반드시 파악해서 기업의 가치에 영향을 주는 내용이라면  매수를 보류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심리적 저점 구간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고 절대적이지 않다.

만약 기업의 가치가 하락했다면 그동안 지지선에 몰려있던 투자자들의 심리가 무너질 것이다.이때는 다음 지지선이 생길 때까지 투자를 보류해야 한다.

지지선이 생긴다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다시 회복됐다는 것이므로 상승추세로 전환될 때까지 관찰해야 한다.

 

 

이상으로 심리적 저점 구간에서 매수하기 위해 차트 분석 시 기업의 실적이나 가치를 반영해서 분석한다면 성공적인 매매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